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318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2008. 2. 29., 선고, 2007다85973, 판결]

【판시사항】

[1] 인신사고 피해자가 치료 종결 후에도 개호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정도에 관한 판단 방법
[2] 인신사고 피해자에게 운동장애, 실인증, 실행증이 합병되어 있고, 뇌의 손상으로 인한 언어장애와 치매 및 정서장애, 간질발작까지 있어 혼자 둘 경우 위험한 행동을 할 우려도 있으므로, 하루 중 수면시간 8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16시간을 성인 2인이 교대로 개호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 사례
[3] 상해의 후유증으로 여명이 단축된 정도를 판단할 때 신체감정촉탁에 의한 여명 감정결과가 갖는 증명력
[4] 신체감정촉탁에 의한 여명의 감정결과에 따라 인신사고 피해자의 기대여명을 정상인의 60%로 감축하여 인정한 사례

【참조조문】

[1]민법 제393조제763조
[2]민법 제393조제763조
[3]민사소송법 제202조민법 제393조제763조
[4]민사소송법 제202조민법 제393조제763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9. 10. 10. 선고 88다카20545 판결(공1990, 243),
대법원 1999. 2. 12. 선고 98다49012 판결(공1999상, 533),
대법원 2004. 6. 25. 선고 2004다6917 판결 / [3]
대법원 1992. 11. 27. 선고 92다26673 판결(공1993상, 255)


【전문】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소명 담당변호사 경수근)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7. 11. 7. 선고 2005나18742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재산상 손해에 관한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개호의 필요성과 상당성은 피해자의 상해 또는 후유장해의 부위·정도·연령·치료기간 등을 종합하여 판단하여야 하고, 인신사고의 피해자가 치료종결 후에도 개호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정도에 대한 판단은 전문가의 감정을 통하여 밝혀진 후유장해의 내용에 터잡아 피해자의 연령·정신상태·교육정도·사회적·경제적 조건 등 모든 구체적인 사정을 종합하여 경험칙과 논리칙에 비추어 규범적으로 평가하여야 한다( 대법원 1989. 10. 10. 선고 88다카20545 판결대법원 1999. 2. 12. 선고 98다49012 판결대법원 2004. 6. 25. 선고 2004다6917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채택 증거에 의하여 원고에게는 운동장애, 실인증, 실행증이 합병되어 있고, 뇌의 손상으로 인한 언어장애가 있으며, 치매 및 정서장애, 간질발작까지 합병되어 있어 혼자 둘 경우 위험한 행동을 할 우려도 있으므로, 하루 중 수면시간 8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16시간을 성인 2인이 교대로 개호할 필요가 있다고 봄이 상당하다고 판단하였는바, 위 법리와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개호의 필요 여부 및 개호인수의 인정에 관한 법리오해나 채증법칙 위반으로 인한 사실오인 등의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상해의 후유증이 기대여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 얼마나 단축될 것인가는 후유증의 구체적 내용에 따라 의학적 견지에서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인바, 신체감정촉탁에 의한 여명의 감정결과는 의학적 판단에 속하는 것으로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에 관한 감정인의 판단은 존중되어야 한다( 대법원 1992. 11. 27. 선고 92다26673 판결 등 참조).
이 사건에서 원심이 채택한 제1심의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장 및 원심의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장에 대한 각 신체감정촉탁 결과에 의하면, 원고는 거동가능한 중증장애인으로서 간질이 지속되어 그 기대여명은 정상인 여명의 60%라는 것이고, 원고는 그에 따라 2007. 1. 2.자 청구취지 및 원인변경 신청서 등에서 자신의 기대여명이 그 연령의 평균인에 비하여 60% 감축된 34.3년으로서 2034. 4. 20.까지라고 주장하였으므로,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원고의 기대여명은 정상인의 60%로 감축하여 인정함이 상당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원심으로서는 원고의 기대여명을 얼마로 볼 것인지를 확정한 다음, 그 기대여명 종료일이 가동연한보다 앞서는지 여부에 따라 생계비를 공제하는 등 일실수입의 계산을 달리하여야 하고, 개호비 및 향후치료비는 그 기대여명의 범위 내에서 인정하였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원고의 기대여명이 정상인과 마찬가지로 58.11년임을 전제로 하면서 일실수입과 개호비의 계산에 있어서만 중간이자 공제를 위한 호프만수치의 한도를 240으로 제한하여 적용하였을 뿐이므로 원심판결에는 기대여명의 인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였거나 채증법칙에 위반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3.  결 론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재산상 손해에 관한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박일환 김능환(주심)

TAG •

  1. 회사의 이사가 일정한 보수를 지급받은 경우,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 해당된다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431
    Read More
  2. 수술을 받지 않아 손해가 확대된 경우

    Date2011.04.05 By송무팀 Views3421
    Read More
  3. 투신사고와 자살 사이의 인과관계가 인정된다고 보아 병원에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한 사례

    Date2011.04.05 By송무팀 Views3420
    Read More
  4. 후유증이 기왕증과 경합하여 나타난 경우, 자영농민 수입의 기준

    Date2011.04.05 By송무팀 Views3412
    Read More
  5. 후유증에도 불구하고 종전 직장에 계속 근무하고 있는 경우 일실수입, 일실퇴직금 인정 여부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357
    Read More
  6. 사고 직전 퇴직한 자의 기대수입 산정기준

    Date2011.04.05 By송무팀 Views3325
    Read More
  7. 견인차 운전자의 불법 정차와 후행 교통사고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다.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303
    Read More
  8. 인과관계의 존재에 관한 입증책임은 원칙적으로 피해자에게 있다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292
    Read More
  9. 구조 위해 갓길 정차한 피해자 책임 묻기 어렵다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204
    Read More
  10. 수입에 대한 입증이 없는 경우, 종전직장에서 얻던 수입을 일실이익의 기초로 할 수 있는지 여부

    Date2011.04.05 By송무팀 Views3201
    Read More
  11. 수면시간 8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16시간을 성인 2인이 교대로 개호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 사례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185
    Read More
  12. 의료보조기구의 착용 여부에 따라 노동능력상실률에 차이가 있는 경우의 평가 방법

    Date2011.04.05 By송무팀 Views3091
    Read More
  13. 안전띠 입증책임, 다방종업원 일실수익

    Date2011.04.05 By관리자 Views3063
    Read More
  14. 무보험차사고보험에 의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때라도 자기신체사고의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고 한 사례

    Date2017.02.03 By사무국장 Views2430
    Read More
  15. 교차로에 진입하는 운전자에게 그 정지선에서 일지정지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

    Date2017.08.07 By사무국장 Views2119
    Read More
  16. 소멸시효의 기산점은 손해가 현실화된 것을 안 날을 의미한다

    Date2017.03.15 By사무국장 Views2080
    Read More
  17. 노동능력상실률의 평가에 있어 신체감정결과의 증거가치(=보조자료)와 그 판정방법

    Date2017.04.27 By송무팀 Views1697
    Read More
  18. 수리불능으로 인한 교환가치의 감소액도 통상의 손해에 해당한다

    Date2017.06.26 By송무팀 Views1517
    Read More
  19. 신체감정비용을 별도로 소구할 이익이 있는지 여부

    Date2019.04.18 By송무팀 Views884
    Read More
  20. 사망 이후의 일실이익을 산정하는 경우

    Date2019.06.21 By송무팀 Views78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