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4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1990. 8. 28., 선고, 88다카31279, 판결]

【판시사항】

 

의사로부터 수술 권유를 받고서도 피해자가 수술을 받지 아니하였으나 수술하더라도 완치 또는 호전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입증이 없는 경우 수술하기전 상태에서의 노동능력상실율을 토대로 일실이익을 산정한 조치의 적부(적극)

【판결요지】

 

원고가 요추제 4, 5추간판탈출증 등의 상처를 입고 그 치료를 받았으나 요추부운동영역장애 등의 후유증이 남아 있어 의사로부터 위 증상치료를 위한 수술의 권유를 받고도 이를 원치않아 그 수술을 하지 않았다 하여도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수술을 할 경우 완치될 수 있는 가능성 또는 완치가 되지 않더라도 상당히 호전되어 노동능력상실율이 어느 정도 낮아질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아무런 입증이 없는 경우, 수술하기 전 상태에서의 노동능력상실율을 토대로 일실이익을 산정한 원심의 조치에 일실이익 산정에 관한 법리오해나 심리미진의 위법이 없다.

【참조조문】

 

【전문】

【원고, 피상고인】

 

박구련 외 4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곽희열

【피고, 상고인】

 

사단법인 부산컨테이너부두운영공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석용진

【원심판결】

 

부산고등법원 1988.10.27. 선고 87나37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피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본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거시증거에 의하여 이 사건 사고로 인하여 원고 박구련이 요추 제4, 5추간판탈출증등의 상처를 입고 그 치료를 받아 증상이 고정되었으나 요추부운동영역장애 등의 후유증이 남아 그 노동능력의 36퍼센트를 상실하였음을 전제로 하여 위 원고의 일실수익 및 원고들의 위자료를 산정하고 있다.


그런데 원고가 소론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의사로부터 위 증상치료를 위한 수술의 권유를 받고도 이를 원치않아 그 수술을 하지 않았다 하여도 추간판탈출증에 대한 수술을 할 경우 완치될 수 있는 가능성 또는 완치가 되지 않더라도 상당히 호전되어 노동능력상실비율이 어느 정도 낮아질 수 있는지에 대하여 아무런 입증이 없는 이 사건에 있어서는 수술하기 전 상태에서의 노동능력상실율을 토대로 일실이익을 산정한 원심의 위 조치는 이를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일실이익산정에 관한 법리오해나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원심이 원고 박구련의 일실퇴직금을 이 사건 사고당시의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하여 산정하였음은 정당하다.
소론은 퇴직금은 퇴직한 날 당시의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하여 산정하여야 할 것이므로 원심이 위 원고의 일실퇴직금을 위 원고가 실제로 퇴직한 1987.4.29. 당시의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하여 산정하여야 할 것을 실제퇴직일 6개월 전인 위 사고당시의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한 것은 위법하다는 것이나, 사고로 인하여 조기퇴직함으로써 입게된 일실퇴직금손해는 피해자가 정년까지 계속 근무한 후 퇴직함으로써 받게 되는 퇴직금과 사고로 인하여 조기퇴직 함으로써 실제로 지급받게 되는 퇴직금의 차액상당이라고 할 것이므로 이 사건에서 원심이 원고 박구련이 이 사건 사고가 없었더라면 지급받을 수 있었던 퇴직금을 위 사고당시의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 데에 어떤 잘못이 있다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3.  피고는 원심판결 중 적극적 손해에 관한 피고 패소부분에 대하여도 불복, 상고를 제기하였으나 이 부분에 대하여는 상고이유의 기재가 없으므로 이 부분 상고는 기각을 면할 수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석(재판장) 이회창 김상원 김주한

  1. 손해액 산정 시 피해자가 수령한 휴업급여금 등의 공제범위

    Date2020.05.18 By송무팀 Views199
    Read More
  2. 수리를 위하여 맡겨진 자동차를 수리업자의 피용인이 운전하다가 사고를 일으킨 경우의 손해배상책임자

    Date2019.05.14 By송무팀 Views334
    Read More
  3. 수리를 위하여 맡겨진 자동차에 대한 수리기간 동안의 운행지배권의 귀속

    Date2019.07.03 By송무팀 Views458
    Read More
  4. 수리를 위하여 필요한 기간동안 영업을 못함으로 인한 수익상실이 통상손해인지 여부

    Date2019.07.15 By송무팀 Views386
    Read More
  5. 수리불능으로 인한 교환가치의 감소액도 통상의 손해에 해당한다

    Date2017.06.26 By송무팀 Views1531
    Read More
  6. 수사 또는 형사재판과정에서 형사합의금 명목으로 지급받은 금원의 성격

    Date2019.12.18 By송무팀 Views362
    Read More
  7. 수술을 받지 않아 손해가 확대된 경우

    Date2011.04.05 By송무팀 Views3433
    Read More
  8. 수술전 상태의 노동능력상실율을 토대로 일실이익을 산정한 조치의 적부

    Date2019.07.17 By송무팀 Views438
    Read More
  9. 수영실기능력이 상실된 전 국가대표 수영선수에게 금 20,000,000원의 위자료가 인정된 사례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4099
    Read More
  10. 수익이 증가될 고도의 개연성이 있는 경우에는 장차 증가될 수익도 마땅히 고려해야 한다

    Date2011.04.05 By송무팀 Views3630
    Read More
  11. 수입에 대한 입증이 없는 경우, 종전직장에서 얻던 수입을 일실이익의 기초로 할 수 있는지 여부

    Date2011.04.05 By송무팀 Views3210
    Read More
  12. 승객이 사망한 경우 자기에게 과실이 없음을 내세워 책임을 면할 수 없다

    Date2019.04.19 By송무팀 Views334
    Read More
  13. 승낙피보험자 자신이 피보험자동차로 인한 교통사고로 피해를 입은 경우

    Date2020.02.18 By송무팀 Views269
    Read More
  14. 시효중단사유로서의 최고 및 의사표시의 해석

    Date2020.06.04 By송무팀 Views315
    Read More
  15. 식물인간 피해자에 여명기간 동안 1.5인의 개호 인정한 사례

    Date2010.07.30 By상담실장 Views6157
    Read More
  16. 식물인간이 된 피해자의 향후치료비를 정기금으로 지급할 것을 명한 원심의 조처를 정당하다고 한 사례

    Date2019.05.24 By송무팀 Views404
    Read More
  17. 신체감정 촉구에 불응한 이유만으로 일실수입 청구를 배척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Date2020.04.28 By송무팀 Views237
    Read More
  18. 신체감정비용을 별도로 소구할 이익이 있는지 여부

    Date2019.04.18 By송무팀 Views891
    Read More
  19. 신체장애로 인한 가동능력상실률의 평가방법

    Date2019.09.05 By송무팀 Views378
    Read More
  20. 신체장해로 인한 노동능력상실율의 결정기준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8758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