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3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1991. 4. 26., 선고, 90다20077, 판결]

【판시사항】

 

가. 과실상계비율의 산정이 사실심의 전권사항인지 여부
나. 중앙선이 설치된 편도 1차선 도로에서 자기 차선을 따라 운행하는 자동차운전자가 차체 측면을 중앙선에 붙인채 운전한 것이 잘못인지 여부
다.도로교통법 제34조 제1항 소정의 경음기를 울려야 할 “비탈길, 굴곡이 많은 산속도로”의 의미

 

【판결요지】

 

가. 손해배상청구사건에서 과실상계비율의 산정은 형평의 원칙에 비추어 현저히 불합리하다고 인정되지 않는 한 사실심의 전권에 속한다.


나. 중앙선이 설치된 편도 1차선 도로를 자기 차선을 따라 운행하는 자동차운전자로서는 마주오는 상대방 차와 교행할 경우 상대방 차도 제 차선을 지켜 운행하리라고 신뢰하는 것이 보통이어서, 상대방 차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운행하리라는 것을 예견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상대방 차가 중앙선을 침범하여 이쪽 차선에 돌입할 경우까지 예상하여 운전할 주의의무는 없으므로, 자기 차를 도로의 오른쪽에 붙이거나 노견부분을 따라서 운전하지 아니하고 차체 측면을 중앙선에 붙인 채 운전하였다 하여 이를 잘못이라고 할 수 없다.


다.도로교통법 제34조 제1항 소정의 경음기를 울려야 할 “비탈길, 굴곡이 많은 산속도로”라 함은 모든 비탈길 또는 굴곡이 많은 산속도로를 뜻하는 것이 아니고 그 중 전방의 교통을 살필 수 없어 교통상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만을 의미한다.
 

【참조조문】

 

【참조판례】

 

【전문】

【원고, 상고인겸, 피상고인】

 

추주이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갑열)

【원고, 피상고인】

 

서태근 외 4인

【피고, 피상고인겸, 상고인】

 

주식회사 천마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정웅 외 1인

【피고, 피상고인】

 

하영선

【원 판 결】

 

서울고등법원 1990.11.15. 선고 90나36067 판결

【주 문】

 

원판결 중 피고 주식회사 천마의 패소부분을 파기하여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원고 추주이의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기각된 부분의 상고소송비용은 원고 추주이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원고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1) 원심이 이 사건 사고의 원인은 망 소외 1 운전하던 자동차의 중앙선 침범에 있다고 인정하였음은 옳고 여기에 소론과 같은 채증법칙위배,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2) 손해배상청구사건에서 과실상계비율의 산정은 형평의 원칙에 비추어 현저히 불합리하다고 인정되지 않는 한 사실심의 전권에 속하는 사항인바, 원심이 소외 망 서옥선의 과실비율을 설시와 같이 평가하였음은 적정하다고 보이고, 여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은 없으므로 논지 역시 이유없다.
 
2.  피고 주식회사 천마 대리인 변호사 김정웅의 상고이유와 이에 관계된 변호사 서홍직의 추가상고이유 부분에 대하여


원판결 및 원판결이 인용한 제1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 주식회사 천마(이하 피고라고만 한다) 소유인 직행버스의 운전사 소외 김소원이 1989.10.1. 07:50경 위 버스를 운전하고 강원 삼척군 근덕면 본촌리에 있는 한치재 정상 부근 7번 국도에 이르러 교행도중 갑자기 중앙선을 넘어온 12인승 승합자동차를 버스의 좌측 앞부분으로 들이받아 위 승합자동차의 승객인 소외 서옥선을 치사한 사실, 위 사고장소는 피고버스의 진행방향에서 보아 왼쪽으로 120도(원심이 표시한 바는 없으나 원심의 설시자료들에 의하면 내각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하 같다) 가량 구부러지고 약 5도 내리막길이자 노폭 6.7미터인 왕복 2차선 아스팔트 포장도로이고 오른쪽에 아스팔트로 포장된 폭 3.8미터의 노견이 있고 그 왼쪽은 절벽으로서 그 밑은 동해바다인 사실을 확정한 다음, 이 확정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사고는 승합자동차 운전자가 중앙선을 침범한 과실도 있지만 피고 버스운전사가 차체를 중앙선에 붙인 채 서행하지 아니하고 시속 약 50킬로미터로 운전한 데다가 고갯길 내리막의 곡각지점인 사고장소를 운행하면서 경음기를 울려 상대방 차의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지 아니한 과실( 도로교통법 제34조 제1항)에도 터잡아 발생하였다 하여 피고의 면책항변을 배척하고서 피고는 소외 망 서옥선과 그 가족인 원고들이 위 사고로 입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요컨대 원심의 위 판단은 피고 버스 운전사인 소외 김소원이 버스의 차체를 도로 중앙선에 붙인 채 서행하지 아니하고 시속 약 50킬로미터로 운전했다는 점과 이 사건 사고장소는 도로교통법 제34조 제1항 소정의 경음기를 울려야 할 곳인데도 경음기를 울리지 아니하였다는 점을 과실로 본 취지이다.
그러나 중앙선이 설치된 편도 1차선 도로를 자기 차선을 따라 운행하는 자동차 운전자로서는 마주오는 상대방 차와 교행할 경우 상대방 차도 제 차선을 지켜 운행하리라고 신뢰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상대방 차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운행하리라는 것을 예견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상대방 차가 중앙선을 침법하여 이쪽 차선에 돌입할 경우까지 예상하여 운전할 주의의무는 없는 것인바( 당원 1990.6.26. 선고 90다카2441 판결 참조),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 확정한 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교통사고는 위 승합자동차가 피고버스와 교행도중 중앙선을 약 45센티미터나 침범해 들어옴으로써 발생하였다는 것이고, 위 제1심 판결이 설시한 증거들에 의하여도 피고 버스의 운전사가 위 승합자동차의 위와 같이 비정상적인 운행을 예견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있었다고 인정할 수 없으므로, 피고버스의 운전사에게 버스를 도로의 오른쪽에 붙이거나 노견부분을 따라서 운전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고 할 수 없고, 동인이 차체 측면을 중앙선에 붙인 채 버스를 운전하였다 하여(이점을 인정할 만한 증거도 없다) 이를 잘못이라고 흠잡을 수도 없으며, 이 사건 사고장소의 제한시속은 50킬로미터이므로(기록 98장) 같은 속도로 버스를 운전한 사실이 과실이 될 수는 없다.


또한 도로교통법 제34조 제1항에는 “모든 차의 운전자는 좌우를 살필 수 없는 교차로, 도로의 모퉁이, 비탈길 또는 굴곡이 많은 산속도로를 통행하는 때에는 경음기를 울려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경음기를 울려야 할 “비탈길, 굴곡이 많은 산속도로”라 함은 도로교통법의 목적이 도로에서 일어나는 모든 위험과 장해를 방지, 제거하여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을 확보함에 있는 점( 제1조), 위 조항이 경음기를 울려야 할 장소로 “좌우를 살필 수 없는 교차로, 도로의 모퉁이”도 함께 열거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모든 비탈길 또는 굴곡이 많은 산속도로를 뜻하는 것이 아니고 그 중 전방의 교통을 살필 수 없어 교통상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만을 의미한다 고 한정하여 해석함이 타당한바, 위 제1심판결 및 그 설시증거들에 의하면 이 사건 사고장소의 도로상황은 피고버스의 진행방향에서 볼때 울진-삼척간 한치재의 정상을 막 넘어선 약 5도의 내리막길로서 왼쪽으로 120도가량 구부러진 후 늘어진 역 에스자 형태를 이루고 있기는 하나, 위 고갯길의 정상에서 막 좌회전하고 나면 전방 내리막길의 교통상황이 한눈에 들어오고 상대방 차의 운전자로서도 고갯길 정상까지의 교통상황을 멀리서부터 살피는데 아무 장애가 없는 장소이며(기록 129-131장의 각 영상 참조), 피고버스 운전사가 좌회전후 최초로 상대방 차를 발견했을 때 양차사이의 거리가 약 44.3미터였다 (기록 128장의 도면 참조)는 것이므로, 이 사건 사고장소는 위 규정 소정의 경음기를 울려야 할 곳에 해당하지 아니한다고 보일 뿐더러, 이 사건 사고발생 당시의 상황이 도로교통법 제34조 제3항 단서 소정의 예외적으로 경음기를 울려야 할 경우인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긴급한 때”에 해당한다고도 할 수 없고, 따라서 피고버스의 운전사에게 위 좌회전에 즈음하여 또는 상대방 차를 최초로 발견했을 때 경음기를 울려 그 주의를 환기할 의무가 있다고는 할 수 없다.


결국 원판결에는 자동차 운전자의 주의의무, 도로교통법 제34조 제1항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거나 채증법칙에 위배하여 증거없이 사실을 인정하여 피고의 면책항변을 배척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어 논지는 이유있다.
 
3.  그러므로 원고 추주이의 상고는 기각하되, 원판결 중 피고 주식회사 천마의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더 심리케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영철(재판장) 박우동 배석 김상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6 석사과정 수료한 피해자의 일실수입 산정, 호의동승과 손해배상액의 감경 사고후닷컴 2011.04.05 4072
285 선교목사의 가동연한을 60세로 인정한 원심의 판단에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 판시한 사례 사고후닷컴 2011.04.05 4674
284 선행차량에 이어 후행차량이 연속하여 역과하는 과정에서 피해자가 사망한 경우 사고후닷컴 2011.04.05 4494
283 성인남자 2인의 개호가 필요하다고 본 사례 사고후닷컴 2011.04.05 3521
282 성인여자 1인의 개호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19.12.02 297
281 세무당국에 신고 소득액을 사고 당시의 수입금액으로 보아야 하는지 여부 사고후닷컴 2020.06.08 357
280 세차장 종업원이 차량을 운전하다가 사고가 발생한 경우 책임이 있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19.05.08 413
279 세차장과 카센타의 2개 업체를 경영하고 있던 피해자의 일실이익 산정 사고후닷컴 2011.04.05 4005
278 소규모 주식회사의 대표이사 정년 사고후닷컴 2011.04.03 4583
277 소득 금액을 전년도보다 2배 인상되었다는 이유만으로 배척할 수 없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0.02.28 225
276 소멸시효의 진행은 그 채무의 승인시에 중단되었다고 할 것이다 사고후닷컴 2011.04.05 4120
275 소멸시효의 기산점은 손해가 현실화된 것을 안 날을 의미한다 사고후닷컴 2017.03.15 2089
274 소송고지서를 법원에 제출한 때에 시효중단의 효력이 발생한다 사고후닷컴 2020.06.04 329
273 소위로 복무 중이던 피해자의 일실이익 산정 방법 사고후닷컴 2011.04.05 4977
272 손님의 자동차를 그 주차안내자가 그 손님의 승낙없이 운전하다가 사고를 일으킨 경우 그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자 사고후닷컴 2019.05.23 426
271 손해배상에 관한 합의가 나머지 손해배상청구권의 포기로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0.02.17 254
270 손해배상의 범위 및 기왕증의 기여도 산정 기준 사고후닷컴 2011.04.05 5262
269 손해배상채권의 소멸시효는 각 손해가 발생한 때부터 개별적으로 진행하는지 여부 사고후닷컴 2022.11.10 59
268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는 보조참가로 중단되었다고 본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0.05.28 316
267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있어 손해 및 가해자를 안다는 것의 의미 사고후닷컴 2019.10.29 294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