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1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2007. 1. 25., 선고, 2006다61055, 판결]

【판시사항】

[1] 지입차량의 소유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자(=지입회사)
[2] 지입차량이 사고로 인하여 차량수리비 등의 손해를 입은 경우, 지입계약에 따라 자동차등록원부에 소유자로 등록된 지입회사가 손해배상청구권을 가진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민법 제103조[명의신탁]
[2]민법 제103조[명의신탁]
 

【참조판례】

[1]대법원 1989. 9. 12. 선고 88다카18641 판결(공1989, 1461)
 

【전문】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흥국쌍용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손영섭)

【원심판결】

울산지법 2006. 8. 10. 선고 2006나2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울산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화물자동차운송사업면허를 가진 운송사업자와 실질적으로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차주 간의 계약으로 외부적으로는 자동차를 운송사업자 명의로 등록하여 운송사업자에게 귀속시키고 내부적으로는 각 차주들이 독립된 관리 및 계산으로 영업을 하면서 운송사업자에게 지입료를 지불하는 운송사업형태(이른바 지입제)에 있어, 지입차량은 지입회사가 대외적으로는 소유자이므로 그 소유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을 구하는 것은 대외적으로 소유권자인 지입회사의 권한에 속한다( 대법원 1989. 9. 12. 선고 88다카18641 판결 참조).


원심이 확정한 사실에 의하면, 원고가 2004. 10. 27. 소외인과 사이에 이 사건 피해차량에 관하여 원고는 형식적인 소유권을, 소외인은 실질적인 소유권을 갖기로 하는 내용의 지입계약을 체결하였다는 것이므로, 위와 같은 지입계약에 따라 자동차등록원부상의 소유자로 원고가 등록되었다면 이 사건 피해차량의 대외적인 소유권자는 지입회사인 원고이고, 따라서 이 사건 피해차량이 사고로 인하여 차량수리비 등의 손해를 입은 경우에는 원고가 그 소유권을 침해받은 것이므로 원고는 이 사건 피해차량의 소유권자로서 가해차량의 보험자인 피고를 상대로 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그런데도 원심은 원고와 소외인 사이의 내부적인 지입계약에서 차량수리비 등을 지입차주인 소외인이 부담하기로 하였다는 이유로 원고의 이 사건 손해배상청구를 배척하였으니, 이와 같은 원심판결에는 지입계약에 따른 대외적인 법률관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고,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주심) 김황식 안대희

  1. 차량에서 추락한 사안에서 차량의 운행으로 인하여 발생한 사고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Date2020.04.29 By송무팀 Views229
    Read More
  2. 차량에 동승한 사실만으로 안전운행을 촉구하여야 할 주의의무는 없다

    Date2019.10.04 By송무팀 Views328
    Read More
  3. 차량동승자에게 운전자에 대하여 안전운행을 촉구할 주의의무가 있는지 여부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4452
    Read More
  4. 차량과 오토바이와 시비가 붙어 오토바이를 추격하던 중 오토바이가 넘어져 사고난 경우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4528
    Read More
  5. 차량 진입으로 인한 인신사고와 여의도 광장의 관리상 하자 사이에 상당 인과관계가 있다고 한 사례

    Date2020.01.04 By송무팀 Views221
    Read More
  6. 차량 매도인의 운행지배나 운행이익 상실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심리할 사항

    Date2019.07.30 By송무팀 Views326
    Read More
  7. 차량 동승자에게 운전자에 대하여 안전운행을 촉구할 주의의무가 있는지 여부

    Date2019.12.10 By송무팀 Views241
    Read More
  8. 진료비 해당액을 책임보험금으로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

    Date2020.05.07 By송무팀 Views218
    Read More
  9. 지입회사에게 직접적 운행지배를 인정하여 손해배상책임을 긍정한 사례

    Date2019.11.08 By송무팀 Views225
    Read More
  10. 지입차량의 소유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자(=지입회사)

    Date2020.04.16 By송무팀 Views193
    Read More
  11. 지입등록하기 전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회사의 손해배상책임 유무

    Date2019.07.23 By송무팀 Views366
    Read More
  12. 지게차의 운행으로 말미암아 일어난 것이라고 본 사례

    Date2020.02.11 By송무팀 Views207
    Read More
  13. 증가될 수익을 기준으로 산정된 일실이익은 통상손해에 해당된다

    Date2019.10.28 By송무팀 Views267
    Read More
  14. 중앙선이 설치된 도로에서 교행하는 자동차운전사의 주의의무

    Date2019.05.30 By송무팀 Views338
    Read More
  15. 중앙선이 설치된 도로를 자기 차선을 따라 운행하는 자동차 운전자의 주의의무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5481
    Read More
  16. 중앙선을 침범한 차량의 과실 판단

    Date2019.07.09 By송무팀 Views460
    Read More
  17. 중앙선을 침범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운행하리라는 신뢰를 갖기는 어렵다고 본 사례

    Date2019.09.19 By송무팀 Views312
    Read More
  18. 중앙선을 침범하여 자기 차선까지 돌입할 경우를 예상하여 운전할 주의의무는 없다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4409
    Read More
  19. 중앙선을 침범하여 오는 자동차를 발견한 경우에 취하여야 할 주의의무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4818
    Read More
  20. 중앙선을 침범하여 오는 것을 미리 목격한 경우에 요구되는 자동차 운전자의 주의의무

    Date2020.02.25 By송무팀 Views359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