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18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2012. 6. 14., 선고, 2010다77293, 판결]

【판시사항】

[1] 손해액 산정 시 피해자가 수령한 휴업급여금 등의 공제범위
[2] 일실수입 산정의 기초가 되는 급여소득의 판단 기준

【참조조문】

[1]민법 제393조제763조
[2]민법 제393조제763조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5호

【참조판례】

[1]
대법원 1991. 7. 23. 선고 90다11776 판결(공1991, 2218),
대법원 1995. 4. 25. 선고 93다61703 판결(공1995상, 1936) / [2]
대법원 1992. 4. 10. 선고 91다37522 판결(공1992, 1536),
대법원 1998. 4. 24. 선고 97다58491 판결(공1998상, 1465)
 

【전문】

【원고(선정당사자),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진희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0. 8. 27. 선고 2009나118480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일실수입 손해에 관한 원고(선정당사자)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나머지 상고를 기각한다. 원심판결 이유 중 제7면 제2행의 “각 2,000,000원”을 “각 1,500,000원”으로, 별지 3.의 “위자료 및 합계”란 중 “2,000,000”은 전부 “1,500,000”으로 각 경정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휴업급여 공제에 대하여


원심은 제1심판결의 이유를 인용하여, 원고(선정당사자, 이하 ‘원고’라고만 한다)가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지급받은 휴업급여 44,976,520원은 이 사건 교통사고로 인한 노동능력상실률에 따른 일실수입 손해액에서 전액 공제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수긍하기 어렵다.


손해배상은 손해의 전보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피해자로 하여금 근로기준법이나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휴업급여나 장해급여 등을 이미 지급받은 경우에 그 급여액을 일실수입의 배상액에서 공제하는 것은 그 손해의 성질이 동일하여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는 것 사이에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피해자가 수령한 휴업급여금이나 장애급여금이 법원에서 인정된 소극적 손해액을 초과하더라도 그 초과부분을 기간과 성질을 달리하는 손해배상액에서 공제할 것은 아니며, 휴업급여는 휴업기간 중의 일실수입에 대응하는 것이므로 그것이 지급된 휴업기간 중의 일실수입 상당의 손해액에서만 공제되어야 할 것이다( 대법원 1991. 7. 23. 선고 90다11776 판결대법원 1995. 4. 25. 선고 93다61703 판결 등 참조).


그렇다면 원심으로서는 위 휴업급여가 지급된 대상기간을 심리한 다음, 그에 따라 원고의 일실수입 중 휴업급여가 지급된 기간 중의 일실수입에 해당하는 금액을 특정하여 그 금액에서 동일한 기간에 대해 원고가 지급받은 휴업급여액을 공제하였어야 할 것임에도, 원심은 이에 관하여 아무런 심리도 하지 않은 채 전체 일실수입에서 휴업급여금 전액을 공제하였으니, 이러한 원심의 조치는 손해배상사건에 있어 휴업급여의 공제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나머지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한 위법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는 이유 있다.
 
2.  각종 수당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하여 사망하거나 신체상의 장해를 입은 급여소득자가 장래 얻을 수 있는 수입의 상실액은 상실되거나 감퇴된 노동능력에 관한 것이므로 사용자에 의하여 근로의 대상으로 계속적·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금품이라면 그 명칭이나 그 지급 근거가 급여규정에 명시되어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이에 포함되지만, 지급의무의 발생이 개별 근로자의 특수하고 우연한 사정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이거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소요되는 경비를 보전해 주는 실비변상적 성격을 가지는 것은 일실수입 산정의 기초가 되는 급여소득에서 제외된다( 대법원 1992. 4. 10. 선고 91다37522 판결대법원 1998. 4. 24. 선고 97다58491 판결 등 참조).


원심은 원고가 수령하였다고 주장하는 급여 중 중식비와 업무활동보조비는 근로자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소요되는 경비를 보전해주는 차원의 실비변상적 급여에 불과하고 시간외 근무수당, 휴일근무수당, 연월차휴가보상금 등은 계속하여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것이 아니라는 이유로 원고의 일실수입 산정에 기초가 되는 급여소득에서 제외된다고 보았는바,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3.  입원치료기간 및 노동능력상실률에 대하여


타인의 불법행위로 상해를 입은 피해자의 일실이익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인 피해자의 노동능력상실률을 인정·평가함에 있어, 궁극적으로는 법관이 피해자의 연령, 교육정도, 노동의 성질과 신체기능 장애 정도, 기타 사회적·경제적 조건 등을 모두 참작하여 경험칙에 비추어 규범적으로 결정할 수밖에 없고( 대법원 1999. 3. 23. 선고 98다61951 판결 등 참조), 이러한 법리를 전제로 살펴보면 원심이 원고가 입원 및 통원치료를 받은 2004. 11. 18.부터 2007. 1. 31.까지의 기간 중 2004. 11. 18.부터 2006. 3. 7.까지의 기간 동안만 노동능력상실률을 100%로, 2006. 3. 8.부터 60세가 되는 날까지는 31.98%로 인정·평가한 것은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 등의 잘못은 없다.
 
4.  위자료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면, 제1심은 선정자 소외 1, 2, 3의 위자료청구 부분에 대하여 원고의 연령, 상해와 후유장해의 각 부위 및 정도 등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각 1,500,000원으로 정한 다음 피고로 하여금 위 선정자들에게 각 1,500,000원과 지연손해금의 지급을 명하였고, 원심은 판결주문에서 ‘피고의 항소를 기각한다’고 하고 판결이유 중 손해배상의 범위에 관한 판단부분에서 ‘제1심판결문 해당부분 기재와 같다’고 하면서도 그 결론부분에서는 ‘선정자 소외 1, 2, 3에게 각 2,000,000원과 각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으므로’라고 기재하고 별지 3 손해배상액 계산표 중 위 선정자들의 위자료 및 합계액란에 각 ‘2,000,000’으로 기재하였으니, 원심판결의 위와 같은 기재에는 주문과 이유 중 일부가 일치하지 않는 잘못이 있다. 그러나 원심판결의 주문과 이유설시의 전후관계로 미루어 보면 위 ‘2,000,000’은 ‘1,500,000’의 오기임이 명백하여 판결경정 사유가 될 뿐 상고의 방법으로 다툴 것은 아니라고 하겠으므로( 대법원 1993. 4. 23. 선고 92누17297 판결 참조), 원심판결에 이유불비나 이유모순의 위법이 있다는 상고이유도 받아들일 수 없다.
 
5.  나머지 상고에 대하여


원고는 원심판결 중 원고 패소 부분 전부에 대하여 상고하였으나, 청구가 일부 기각된 원고의 적극적 손해와 위자료 부분에 대하여는 상고장이나 상고이유서에 그 이유의 기재가 없다.
 
6.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일실수입 손해에 관한 원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며, 나머지 상고는 기각하되 상고기각 부분의 원심판결 이유에 위에서 본 바와 같은 명백한 오기가 있어 이를 경정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별 지] 선정자 목록: 생략]
 

대법관 이상훈(재판장) 전수안(주심) 양창수 김용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7 고속도로 상 불법 정차와 후행 교통사고 사이의 상당인과관계를 인정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0.04.24 275
466 고속도로 선행 차량의 사고와 후행 추돌사고로 인한 손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는지 여부 사고후닷컴 2020.05.20 385
465 고속도로 선행사고로 정차한 차량을 후행 차량이 추돌한 사고에 대한 과실 사고후닷컴 2011.04.05 4064
464 고속도로상에 들어온 개를 피하려다 사고가 난 경우 도로공사의 책임을 인정한 사례 사고후닷컴 2019.10.24 265
463 고용된 간호사의 문진, 신체계측 등의 결과서를 작성하여 보험회사에 통보하는 의료행위는 위법 사고후닷컴 2013.03.11 6074
462 고용된 운전사가 차량을 그 소유자의 승낙을 받지 아니하고 개인용무에 무단으로 사용한 경우 사고후닷컴 2019.08.12 327
461 공동불법행위의 성립요건 사고후닷컴 2019.06.07 491
460 공동투자한 차량에 동승하여 사망한 경우 "다른 사람"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19.10.17 367
459 공무원 자녀학비보조수당을 일실수익의 산정기초로 삼을 수 있는지 여부 사고후닷컴 2019.07.26 330
458 공무원연금법상 공제하여야 하는 유족연금액의 범위 사고후닷컴 2020.04.22 173
457 공무원의 국가 소유의 오토바이의 무단운전행위에 대한 국가의 운행보유자성 유무 사고후닷컴 2019.05.03 323
456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에 대하여 공무원 개인이 손해배상책임을 지는지 여부 사고후닷컴 2020.01.23 262
455 공무원이 동승한 다른 공무원을 사망하게 한 경우 국가배상책임의 성립 여부 사고후닷컴 2020.03.09 241
454 공무원이 직무수행 중 타인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공무원 개인의 손해배상책임 유무 사고후닷컴 2020.01.22 234
453 공상군경의 유족이 지급받을 손해액 산정에 있어서 공제하여야 할 유족연금액의 범위 사고후닷컴 2011.09.27 7284
452 공탁금을 수령한 아무런 증거가 없어 피고의 공제주장을 배척한 원심의 조치는 옳다 사고후닷컴 2019.11.24 237
451 공탁금을 위자료의 일부로 보아 재산상 손해배상금에서 공제하지 않고 위자료에서 참작 사고후닷컴 2011.04.05 4293
450 공탁금을 재산상 손해배상금에서 공제하지 않고 위자료 산정에 있어서 참작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0.03.18 297
449 과실상계에서 피해자의 과실로 참작되어야 할 피해자측의 범위 사고후닷컴 2011.04.05 5915
448 과실이 경합된 경우 건강보험공단 부담금을 공제한 다음 ‘공제 후 과실상계’ 방식으로 산정하여야 한다 사고후닷컴 2023.04.10 3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