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법률뉴스

교통사고 보험분쟁

사고후닷컴은 정직과 성실함으로 고객과의 약속을 지켜왔습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회사에서 일하다 사망한 경우 지급받게 되는 사망퇴직금은 유족의 상속재산일까, 고유재산일까? 대법원은 ‘단체협약에서 근로자의 사망으로 지급되는 퇴직금(사망퇴직금)을 근로기준법이 정한 유족보상의 범위와 순위에 따라 유족에게 지급하기로 정했다면’ 수령권자인 유족의 고유재산이라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단체협약에서 근로자의 사망으로 지급되는 퇴직금(사망퇴직금)을 근로기준법이 정한 유족보상의 범위와 순위에 따라 유족에게 지급하기로 정했다면, 개별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이와 다른 내용의 의사를 표시하지 않는 한 수령권자인 유족은 상속인으로서가 아니라 위 규정에 따라 직접 사망퇴직금을 취득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일반적으로 퇴직금은 후불적 임금으로서의 성격과 공로보상적 성격 외에도 사회보장적 급여로서의 성격을 함께 가지므로, 사망퇴직금은 사망한 근로자의 생전 근로에 대한 대가로서의 성격 외에 근로자의 사망 당시 그에 의해 부양되고 있던 유족의 생활보장과 복리향상 등을 위한 급여로서의 성격도 함께 가진다고 볼 수 있다”며 “따라서 단체협약에서 근로자의 재직 중 사망으로 말미암아 생활보장이 필요한 유족에게 사망퇴직금을 지급하는 내용을 정하는 것은 사망퇴직금의 성격에도 부합한다”고 덧붙였다. 단체협약은 노사의 협약자치의 결과물이므로 현저히 합리성을 결하지 않은 한 가급적 존중할 필요가 있는 점 등을 고려한 것이다.

이와함께 대법원은 “사망퇴직금이 유족의 고유재산이더라도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에 따른 퇴직금으로서의 성질을 상실하는 것은 아니므로 근로기준법 제37조 등에 따른 연 20%의 지연손해금 이율이 적용된다”고 판단했다.

재판부는 “이 사건에서 원심이 원심판결 선고일 다음 날부터의 기간에 대해 근로기준법이 정한 연 20%의 지연손해금 이율을 적용한 것에는 잘못이 없다”면서도 “다만 제반 사정에 비추어 사측(농협은행) 입장에서는 사망퇴직금의 전부 또는 일부의 존부를 다투는 것이 적절했다고 보이므로 원심이 원심판결 선고일까지의 기간에 대해도 근로기준법이 정한 이율에 따른 지연손해금 지급을 명한 것은 잘못”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기간에 대해서는 망인과 체결한 근로계약은 보조적 상행위에 해당하므로 상법에서 정한 연 6%의 지연손해금 이율을 적용해야 한다”고 파기자판했다. 농협은행에서 근로자로 일하던 A 씨는 2012년 4월 사망했다. 농협은행은 A 씨의 채권자이자 사용자로서 지위를 겸유하고 있고, 농협생명보험과 한국씨티은행은 A 씨의 채권자이다. 농협은행의 단체협약과 퇴직금 규정은 ‘사망으로 인한 퇴직자의 퇴직금은 근로기준법이 정하는 바에 의해 유족에게 지급한다’고 정하고, ‘사망으로 인한 퇴직 시 퇴직금을 증액하여 지급할 수 있다’는 취지의 특례조항을 두고 있다. 특례조항에 따른 A 씨의 퇴직금은 세후 1억868만여 원이었다.

A 씨의 배우자인 B 씨와 자녀인 C 씨 등은 사망퇴직금 청구권을 상속재산목록에 포함시켜 한정승인심판을 청구해 수리심판을 받았다. 이후 사망퇴직금 청구권에 대한 강제집행 절차에서 농협은행은 사망퇴직금 중 2분의 1에 해당하는 5430여만 원을 공탁했고, 채권자인 피고들은 공탁된 사망퇴직금에 대해 집행절차에서 안분배당을 받았다.

B 씨와 그 자녀들은 “사망퇴직금 청구권 전부가 상속인인 자신들의 고유재산”이라며 농협은행에 퇴직금 지급을 구하는 한편, 피고들에게는 배당된 부분에 대한 부당이득 반환을 구하는 소송을 냈다. 1심은 B 씨에 대해서는 일부승소, C 씨 등에 대해서는 전부승소 판결했다. 그러나 2심은 B 씨에 대해서는 일부승소, C 씨 등에 대해서는 전부패소 판결했다.

박수연 기자 2023-12-14 06:43

 

원글보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1 보험계약내용 변경신청, 근무시간에 해야 관리자 2021.11.04 14
640 교통사고로 인한 우울증 자살에도 보험금 관리자 2021.11.04 11
639 지하철사고도 보험금 지급 대상 관리자 2021.11.04 12
638 과속방지턱 불량원인 사고책임은 지자체에 관리자 2021.11.04 12
637 교통사고 처리현장서 발생한 사고에 국가책임 인정 관리자 2021.11.05 13
636 운전자 무과실 밝혀져도 손해배상 합의금 못돌려 받아 관리자 2021.11.05 12
635 철도건널목 사고에 국가배상 인정 관리자 2021.11.05 14
634 불법주차로 인한 사고 지방자치단체 책임 관리자 2021.11.05 25
633 '영구장해만 후유장해로 규정하고 한시장해는 제외한 약관, 설명해야' 관리자 2021.11.05 12
632 무면허 종업원 사고때도 보험금 지급 관리자 2021.11.05 19
631 상해보험 중복가입 고지의무없다 관리자 2021.11.05 14
630 형사합의금관련 보험사 억지 주장에 쐐기 관리자 2021.11.05 53
629 무보험사고 피해자가 정부로부터 받은 보상금, '가해자로부터 손해배상 받았어도 손해액에 못미치면 반환할 필요없다' 관리자 2021.11.05 19
628 보험사고 여부 불분명한 사고 발생때 피보험자 소송비용도 보험사가 지급해야 관리자 2021.11.05 14
627 부모차 무면허 운전사고 부모는 책임없어 관리자 2021.11.05 14
626 세포검사만으로도 암 진단 확정 인정 관리자 2021.11.05 15
625 '자동차 전용도로에서의 오토바이 사고, 자동차 쪽에도 30% 과실책임 있다' 관리자 2021.11.05 12
624 '차도에 내려 인도로 가다 사고'는 '하차중 사고' 관리자 2021.11.05 14
623 교통사고 후유증에 대한 손배청구권 소멸시효 기산점, 후유증이 固着된 사실 안 때로부터 관리자 2021.11.05 13
622 두부 손상 집중치료 받던 교통사고 환자 폐허탈 사망에 의사·병원 30% 책임 관리자 2021.11.05 1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7 Next
/ 37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