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법률뉴스

교통사고 보험분쟁

사고후닷컴은 정직과 성실함으로 고객과의 약속을 지켜왔습니다.

'가해자의 손해배상액을 한도로 한 연금 급여액 중
가해자의 책임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제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공제 후 과실상계 방식'으로 판례 변경

 

국민연금공단(공단)이 불법행위의 피해자에게 연금 급여를 지급한 후 피해자의 가해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하는 경우 그 대위의 범위는 '가해자의 손해배상액을 한도로 한 연금급여액 중 가해자의 책임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제한된다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단이 나왔다.

 
앞서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국민건강보험법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른 손해배상청구 계산방식에 관한 판례도 '공제 후 과실상계 방식'을 채택하는 것으로 판례를 변경했는데, 이번 전합 판결을 통해 국민연금 대위의 범위와 함께 통일적인 법해석이 이루어지게 됐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엄상필 대법관)는 20일 A 씨가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2021다299594)에서 대법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공단의 손해배상청구권의 대위 범위와 관련해 공제 후 과실상계 방식을 취하여 원고 일부승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공단은 교통사고 피해자인 A 씨에게 장애연금 약 2650만 원을 지급한 후, 국민연금법 제114조 제1항에 따라 A 씨의 가해자 측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 중 위 장애연금 전액을 대위 행사하면서, A 씨가 가해자의 공제사업자인 조합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에 승계참가했다.


1심과 항소심은 원고 일부 승소 판결했다.


항소심은 공제 후 상계 방식의 입장을 취하며 공단이 A 씨의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하는 범위는 장애연금 전액이 아니라 그중 가해자의 책임비율 60%에 해당하는 금액인 약 1590만 원(= 약 2650만 원 × 60%)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공단 측은 "종전 법리인 '과실상계 후 공제' 방식에 따라 손배청구권의 대위 범위는 장애연금 전액(약 2650만 원)이 되어야 한다"며 원고승계참가인으로서 상고했다.


이 사건에서는 공단이 피해자에게 연금급여를 한 후 가해자 측에 대해 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하는 경우, 핵심은 그 대위 범위에 관해 '과실상계 후 공제' 방식을 채택한 대법원 판결(2007다10245) 등의 변경 여부였다.

재판부는 "공단이 불법행위의 피해자에게 연금급여를 한 다음 국민연금법 제114조 제1항에 따라 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하는 경우, '공제 후 과실상계' 방식에 따라 그 대위 범위는 가해자의 손해배상액을 한도로 한 연금급여액 중 가해자의 책임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제한되어야 한다"고 판시했다.


그러면서 공단이 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하는 경우 그 대위 범위는 손해배상액을 한도로 한 연금급여액 전액이라고 판단한 대법원 판결(2007다10245) 등은 이 판결의 견해에 배치되는 범위에서 모두 변경했다.


재판부는 "손해가 제3자의 불법행위와 수급권자의 과실이 경합해 발생한 경우 적어도 '연금급여액 중 피해자의 과실비율에 해당하는 금액'만큼은 공단이 피해자를 위해 부담할 비용이자 피해자가 정당하게 누릴 수 있는 이익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고, 공단의 대위 범위는 연금급여 중 가해자의 책임비율 부분으로 제한하는 것이 이해관계를 공평하게 해결하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민건강보험법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과 국민연금은 모두 사회보장적 성격을 가지는 사회보험제도이므로, 법질서 내에서의 통일된 해석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대법원 관계자는 "대법원은 최근 건강보험, 산재보험 사안에서 '공제 후 과실상계설'을 채택했고, 국민연금 사안에서도 종전 '과실상계 후 공제설'을 취하던 견해를 변경하여 '공제 후 과실상계설'을 채택함으로써 공단의 대위 범위를 합리적으로 제한하고 피해자가 추가적인 손해전보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박수연 기자 2024-06-20 17:01
 

 원글보기


  1. 대법원, 대한의사협회와 '의료감정절차 개선을 위한 간담회' 개최

    Date2024.09.11 By사고후닷컴 Views30
    Read More
  2. 차 주인 몰래 음주운전 하다 사고 “차 주인에게도 배상 책임 있다”

    Date2024.09.11 By사고후닷컴 Views22
    Read More
  3. “해외 파견 근로자 사망, 본사 지시 없다면 산재법 적용할 수 없다”

    Date2024.09.11 By사고후닷컴 Views25
    Read More
  4. 국민연금공단이 대위할 수 있는 피해자의 가해자에 대한 손배청구권 범위… '공제 후 과실 상계'

    Date2024.09.11 By사고후닷컴 Views23
    Read More
  5. 전원합의체, "도로 백색실선 침범해 사고 내도 종합보험 가입했으면 형사처벌 안 돼

    Date2024.09.11 By사고후닷컴 Views27
    Read More
  6. 대형로펌 파트너변호사도 근로자… 法, "산재 대상 맞다"

    Date2024.08.30 By사고후닷컴 Views25
    Read More
  7. 불심검문 경찰 매달고 운전… 미란다 원칙 안 알렸어도 적법한 공무집행이다

    Date2024.08.30 By사고후닷컴 Views19
    Read More
  8. 채무자회생법상 면책 결정… 大, "중앙선 침범 사고라고 해서 면책되지 않는 중대한 과실로 단정 어렵다"

    Date2024.08.30 By사고후닷컴 Views17
    Read More
  9. 업무상 스트레스로 극단 선택 이전 우울증 증상 있었다면…"보험금 미지급 약관 예외사항으로 인정해 보험금 지급해야"

    Date2024.08.30 By사고후닷컴 Views20
    Read More
  10. 음주상태로 타워크레인 조종했으나 음주운전 혐의 무죄…"타워크레인 조종, 도로교통법상 '운전' 아냐"

    Date2024.08.30 By사고후닷컴 Views19
    Read More
  11. '음주 뺑소니' 김호중 구속…"증거인멸 염려"

    Date2024.08.20 By사고후닷컴 Views12
    Read More
  12. 특수고용 근로자 골프장 캐디 '직장 내 괴롭힘'으로 숨져… 사업주도 "주의 의무 소홀 책임 있다"

    Date2024.08.20 By사고후닷컴 Views26
    Read More
  13. “장해보상금 늑장지급 땐 평균임금 올려줘야”

    Date2024.08.20 By사고후닷컴 Views18
    Read More
  14. 교차로 진입前 노란불에 멈추지 않아 사고냈다면… 대법 “신호위반으로 봐야”

    Date2024.08.20 By사고후닷컴 Views18
    Read More
  15. 무면허로 회사 차 운전 중 사망…법원 "업무상 재해 해당"

    Date2024.08.20 By사고후닷컴 Views15
    Read More
  16. 대법원 "일용근로자 월 근로일수, 22일 아닌 20일"

    Date2024.07.18 By사고후닷컴 Views30
    Read More
  17. “전공의 사직 사태에 법원 의료감정 차질 우려”

    Date2024.07.18 By사고후닷컴 Views20
    Read More
  18. 비 내리던 밤 도로에 누운 사람 친 택시 기사...1심서 '무죄'

    Date2024.07.18 By사고후닷컴 Views22
    Read More
  19. '강남 스쿨존 사망사고' 운전자 징역 5년 확정

    Date2024.07.18 By사고후닷컴 Views28
    Read More
  20. 대법원, '의정부 아파트 화재' 유족 경기도 상대 손배소 파기환송

    Date2024.07.18 By사고후닷컴 Views2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8 Next
/ 38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