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
수입에 대한 입증이 없는 경우, 종전직장에서 얻던 수입을 일실이익의 기초로 할 수 있는지 여부
-
사망 후 합격통지가 있었고, 사정이 없는 한 9급 공무원으로 임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봄이 경험칙상 상당
-
도시일용노임은 건설노임단가의 제조부문이 아닌 공사부문 보통인부의 노임
-
일시 체류 예정인 외국인의 일실이익 산정 방법
-
우안이 실명된 개인택시운송사업자의 노동능력상실율의 결정기준
-
후유증에도 불구하고 종전 직장에 계속 근무하고 있는 경우 일실수입, 일실퇴직금 인정 여부
-
후유장애만 있는 경우 일실퇴직금의 범위
-
의료보조기구의 착용 여부에 따라 노동능력상실률에 차이가 있는 경우의 평가 방법
-
국회공무원에게 지급되는 판공비, 정보비, 차량유지비, 정액급식비, 가계보조비 등이 일실이익 산정에 포함될 수 없다
-
수술을 받지 않아 손해가 확대된 경우
-
휴일, 시간 외, 월차, 일.숙직 수당, 특별상여금 인정 여부
-
손해배상의 범위 및 기왕증의 기여도 산정 기준
-
투신사고와 자살 사이의 인과관계가 인정된다고 보아 병원에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한 사례
-
경골 골절로 입원 중 목발보행을 하다 넘어져 추가 상해를 입은 경우
-
보험판매실적에 따른 수당만을 지급받는 생활설계사(보험모집인)의 일실수입을 총 수당액에 소득표준율을 곱하여 산정한 사례
-
입원기간 동안 받은 급여가 공제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배척한 사례
-
후유증이 기왕증과 경합하여 나타난 경우, 자영농민 수입의 기준
-
기왕증 있는 피해자의 사망 당시 노동능력상실액 평가
-
절단 및 강직, 총 노동능력상실률을 산정하는 방법
-
노동부의 직종별 임금실태조사보고서상의 평균소득을 소득수준의 지표로 삼을 수 있는지 여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