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
자동차상해보험의 법적 성격
-
수급권자인 상속인으로부터만 직무상유족연금을 공제하여야 하는지 여부
-
국민연금공단의 연급급여 후 가해자에 대한 대위의 범위
-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보험급여를 받은 피해자가 가해자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를 할 때
-
자동차상해보험의 법적 성격
-
여러 개의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담보특약이 체결되고 보험금액의 총액이 손해액을 초과하는 경우
-
자동차보험계약의 자기신체사고에서 ‘자동차를 그 용법에 따라 사용한다.’는 것의 의미
-
자동차상해보험계약에 따른 보험금을 지급한 보험자가 보험자대위를 할 수 있는 경우와 그 범위
-
피해자가 합리적인 이유 없이 의료행위를 거부함으로써 손해가 확대된 경우
-
기왕치료비 손해배상채권액을 산정하는 방식(=전체 기왕치료비 손해액에서 공단부담금을 공제한 후 과실상계)
-
자동차상해보험계약에 따른 보험금을 지급한 보험자가 보험자대위를 할 수 있는 경우와 그 범위
-
과실이 경합된 경우 건강보험공단 부담금을 공제한 다음 ‘공제 후 과실상계’ 방식으로 산정하여야 한다
-
‘자기신체사고’에 자동차상해 특약으로 담보되는 사고가 포함되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한 사례
-
‘영조물 설치·관리상의 하자’의 의미 및 그 판단 기준
-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과 그 시행령에서 정한 후유장애 급수를 판정하는 방법
-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채무는 불법행위 당시부터 지연손해금이 발생하는지 여부
-
운전상의 과실 유무와 상관없이 승객의 부상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을 지는지 여부
-
손해배상채권의 소멸시효는 각 손해가 발생한 때부터 개별적으로 진행하는지 여부
-
'농업기계’가 무면허운전 처벌규정의 적용대상인 ‘자동차’에 해당하는지 여부
-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불법행위의 피해자를 대위하여 얻는 손해배상채권의 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