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
산재 보상범위를 넘어서는 손해에 대한 면책약관은 효력이 없다고 한 사례
-
상속을 포기한 경우 보험자에 대한 직접청구권이 소멸하는지 여부
-
자동차가 추락하여 사람이 사망하거나 부상한 경우, 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한 사고로 보아야 한다
-
오토바이 위에서 어린 아이가 놀다가 깔려 사망하였다면 '운행으로 인한 사고'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
교차로에서 신호를 위반하여 진행하여 올 것까지 예상하여야 할 주의의무가 있는지 여부
-
신호등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에 있어 영조물 하자에 대한 판단 사례
-
IMF 관리체제 하 급여의 일부를 회사에 반납한 경우 소득에 포함되어야 하는지 여부
-
도주 차량에 의하여 제3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 경찰관의 추적행위가 위법한 것인지 여부
-
급여 소득자가 재직 중 사망한 경우, 일실퇴직금 손해의 산정방법
-
여명 예측이 불확실한 경우, 향후 치료비와 개호비 손해의 산정방식
-
사용자가 피용자에 대한 보호의무를 위반하였다고 인정한 사례
-
'영조물 설치 관리상의 하자'의 의미 및 방호조치의무의 정도
-
자동차의 수리를 의뢰한 경우, 그 자동차의 운행지배권의 귀속 주체(=수리업자)
-
렌터카를 운행자격이 없는 자에게 대여해 준 경우 묵시적 승인이 있다고 본 사례
-
신호기의 하자로 인한 국가배상법 제5조 소정의 배상책임의 귀속 주체(=지방자치단체)
-
공탁금을 재산상 손해배상금에서 공제하지 않고 위자료 산정에 있어서 참작한 사례
-
'운행'과 도로교통법 제2조 제19호 소정의 '운전'이 동일한 개념인지 여부
-
황색 점선의 중앙선을 침범시 반대차선의 자동차의 주의의무가 있는지 여부
-
신호기 고장으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국가도 손해배상책임을 지는지 여부
-
보험회사와 체결한 부제소 합의가 불공정한 법률행위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