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
신호를 위반하여 교차로에 진입하여 올 경우까지 예상하여야 할 주의의무가 있는지 여부
|
사고후닷컴 | 2020.03.02 | 396 |
109 |
절취당한 자동차 보유자의 운행자성을 부정한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3.03 | 344 |
108 |
이중 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밀다가 그 차량에 치어 사망한 경우, 아파트 관리회사의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한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3.04 | 319 |
107 |
경찰관이 위험발생 방지조치를 취하지 아니하였음을 이유로 국가배상 책임을 인정한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3.05 | 298 |
106 |
1차 사고의 피해자가 다른 2차 사고로 인하여 사망한 경우 손해배상 범위
|
사고후닷컴 | 2020.03.07 | 459 |
105 |
렉카(wrecker)와 기중기의 구별 기준
|
사고후닷컴 | 2020.03.07 | 314 |
104 |
공무원이 동승한 다른 공무원을 사망하게 한 경우 국가배상책임의 성립 여부
|
사고후닷컴 | 2020.03.09 | 310 |
103 |
자동차대여사업자가 무면허자에게 대여한 행위와 교통사고 사이에 상당 인과관계가 있는지 여부
|
사고후닷컴 | 2020.03.10 | 353 |
102 |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특약'의 법적 성질(=인보험) 및 그 보험약관상 무면허운전 면책조항의 효력
|
사고후닷컴 | 2020.03.11 | 356 |
101 |
교통사고합의를 부제소의 합의로는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3.12 | 344 |
100 |
보험회사와 체결한 부제소 합의가 불공정한 법률행위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3.13 | 324 |
99 |
신호기 고장으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국가도 손해배상책임을 지는지 여부
|
사고후닷컴 | 2020.03.15 | 329 |
98 |
황색 점선의 중앙선을 침범시 반대차선의 자동차의 주의의무가 있는지 여부
|
사고후닷컴 | 2020.03.16 | 402 |
97 |
'운행'과 도로교통법 제2조 제19호 소정의 '운전'이 동일한 개념인지 여부
|
사고후닷컴 | 2020.03.17 | 376 |
96 |
공탁금을 재산상 손해배상금에서 공제하지 않고 위자료 산정에 있어서 참작한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3.18 | 404 |
95 |
신호기의 하자로 인한 국가배상법 제5조 소정의 배상책임의 귀속 주체(=지방자치단체)
|
사고후닷컴 | 2020.03.19 | 350 |
94 |
렌터카를 운행자격이 없는 자에게 대여해 준 경우 묵시적 승인이 있다고 본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3.20 | 388 |
93 |
자동차의 수리를 의뢰한 경우, 그 자동차의 운행지배권의 귀속 주체(=수리업자)
|
사고후닷컴 | 2020.03.23 | 329 |
92 |
'영조물 설치 관리상의 하자'의 의미 및 방호조치의무의 정도
|
사고후닷컴 | 2020.03.24 | 360 |
91 |
사용자가 피용자에 대한 보호의무를 위반하였다고 인정한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3.25 | 3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