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0 |
산재 보상범위를 넘어서는 손해에 대한 면책약관은 효력이 없다고 한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4.09 | 259 |
429 |
상속을 포기한 경우 보험자에 대한 직접청구권이 소멸하는지 여부
|
사고후닷컴 | 2020.04.08 | 270 |
428 |
자동차가 추락하여 사람이 사망하거나 부상한 경우, 자동차의 운행으로 인한 사고로 보아야 한다
|
사고후닷컴 | 2020.04.07 | 318 |
427 |
오토바이 위에서 어린 아이가 놀다가 깔려 사망하였다면 '운행으로 인한 사고'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4.06 | 292 |
426 |
교차로에서 신호를 위반하여 진행하여 올 것까지 예상하여야 할 주의의무가 있는지 여부
|
사고후닷컴 | 2020.04.03 | 402 |
425 |
신호등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에 있어 영조물 하자에 대한 판단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4.01 | 373 |
424 |
IMF 관리체제 하 급여의 일부를 회사에 반납한 경우 소득에 포함되어야 하는지 여부
|
사고후닷컴 | 2020.03.31 | 327 |
423 |
도주 차량에 의하여 제3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 경찰관의 추적행위가 위법한 것인지 여부
|
사고후닷컴 | 2020.03.30 | 329 |
422 |
급여 소득자가 재직 중 사망한 경우, 일실퇴직금 손해의 산정방법
|
사고후닷컴 | 2020.03.27 | 336 |
421 |
여명 예측이 불확실한 경우, 향후 치료비와 개호비 손해의 산정방식
|
사고후닷컴 | 2020.03.26 | 395 |
420 |
사용자가 피용자에 대한 보호의무를 위반하였다고 인정한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3.25 | 333 |
419 |
'영조물 설치 관리상의 하자'의 의미 및 방호조치의무의 정도
|
사고후닷컴 | 2020.03.24 | 354 |
418 |
자동차의 수리를 의뢰한 경우, 그 자동차의 운행지배권의 귀속 주체(=수리업자)
|
사고후닷컴 | 2020.03.23 | 320 |
417 |
렌터카를 운행자격이 없는 자에게 대여해 준 경우 묵시적 승인이 있다고 본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3.20 | 382 |
416 |
신호기의 하자로 인한 국가배상법 제5조 소정의 배상책임의 귀속 주체(=지방자치단체)
|
사고후닷컴 | 2020.03.19 | 344 |
415 |
공탁금을 재산상 손해배상금에서 공제하지 않고 위자료 산정에 있어서 참작한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3.18 | 395 |
414 |
'운행'과 도로교통법 제2조 제19호 소정의 '운전'이 동일한 개념인지 여부
|
사고후닷컴 | 2020.03.17 | 371 |
413 |
황색 점선의 중앙선을 침범시 반대차선의 자동차의 주의의무가 있는지 여부
|
사고후닷컴 | 2020.03.16 | 390 |
412 |
신호기 고장으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국가도 손해배상책임을 지는지 여부
|
사고후닷컴 | 2020.03.15 | 322 |
411 |
보험회사와 체결한 부제소 합의가 불공정한 법률행위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
사고후닷컴 | 2020.03.13 | 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