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보험금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보험금 판결례 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보험금

[대법원 2011. 4. 28., 선고, 2011다1118, 판결]

【판시사항】

[1] 약관 해석에서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

[2] 암보험계약 약관에서 ‘암’과 ‘상피내암’ 여부에 따라 암치료자금과 수술자금을 달리 지급하도록 정한 사안에서, 위 약관이 규정하는 ‘상피내암’은 다의적으로 해석되어 약관 조항의 뜻이 명백하지 않으므로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을 적용하여 여기에는 점막내 암종(intramucosal carcinoma)을 제외한 상피내 암종(intraepithelial carcinoma)만이 해당한다고 제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제5조 제2항

[2]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제5조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09. 5. 28. 선고 2008다81633 판결,

대법원 2009. 8. 20. 선고 2007다64877 판결,

대법원 2010. 9. 9. 선고 2007다5120 판결(공2010하, 1863)

【전문】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아메리카인터내셔날어슈어런스캄파니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소명 담당변호사 전재중 외 2인)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10. 11. 25. 선고 2010나5808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중앙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약관의 해석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당해 약관의 목적과 취지를 고려하여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해석하되, 개개 계약 당사자가 기도한 목적이나 의사를 참작함이 없이 평균적 고객의 이해가능성을 기준으로 객관적·획일적으로 해석하여야 하며, 위와 같은 해석을 거친 후에도 약관 조항이 객관적으로 다의적으로 해석되고 그 각각의 해석이 합리성이 있는 등 당해 약관의 뜻이 명백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고객에게 유리하게 해석하여야 한다( 대법원 2009. 5. 28. 선고 2008다81633 판결, 대법원 2009. 8. 20. 선고 2007다64877 판결 등 참조).

 

2.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정을 알 수 있다.

가. 원고는 피고와 사이에 제1심판결 별지 목록 기재 각 보험계약(이하 ‘이 사건 각 보험계약’이라 한다, 개별적으로 지칭할 때는 ‘제1보험계약’, ‘제2보험계약’이라고 한다)을 체결하였다.

이 사건 각 보험계약의 약관에 의하면 “암”이라 함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중 별표(대상이 되는 악성 신생물 분류표)에서 정한 질병을 말한다고 규정하면서 그 별표에서는 분류번호 C15~C26의 소화기관의 악성 신생물을 ‘악성 신생물로 분류되는 질병’으로 규정하고 있고, “상피내암”이라 함은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있어서 상피내의 신생물로 분류되는 질병(별표 “대상이 되는 상피내의 신생물 분류표” 참조)을 말한다고 규정하면서 그 별표에서는 분류번호 D01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소화기관의 상피내 암종을 ‘상피내의 신생물로 분류되는 질병’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암과 상피내암 여부에 따라 각 암치료자금과 수술자금을 달리 지급하고 있다.

 

나.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는 국제연합 산하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질병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체계를 따르고 있는데, 국제질병분류에서 사용하는 “Carcinoma in situ"라는 용어를 ”정상 소재의 암종“, ”상피내의 신생물“ 또는 ”상피내 암종“이라는 용어로 혼용하고 있다.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제4편은 “정상 소재의 암종(Carcinoma in situ)”의 행동양식을 상피내(intraepithelial), 비침윤성(noninfiltrating), 비침범성(noninvasive)으로 규정하고 행동양식 분류번호 “/2”를 부여한다. 신생물의 행동양식이 악성(malignant)이고 원발 부위(primary site)에 소재하는 경우에는 행동양식 분류번호 “/3”을 부여한다.

행동양식 분류번호 “/2”의 신생물의 경우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제3편 제2장의 D00-D09에 해당하는 “상피내 신생물(In situ neoplasms)”로 분류되는데, 여기에는 “D01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소화기관의 상피내 암종(Carcinoma in situ of other and unspecified digestive organs)”이 포함되어 있다. 행동양식 분류번호 “/3”의 신생물의 경우에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제3편 제2장의 C00-C97에 해당하는 “악성 신생물(Malignant neoplasms)”로 분류된다. 신생물 형태학의 부호화된 명명법은 “상피성 신생물(Epithelial neoplasms)”에 속하는 “상피내 암종(Carcinoma in situ)”에 대하여 M8010/2의 분류번호를, “선종 및 선암종(Adenomas and adenocarcinomas)”에 속하는 “상피내 선암종(Adenocarcinoma in situ)”에 대하여는 M8140/2의, “선암종(Adenocarcinoma)”에 대하여는 M8140/3의 분류번호를 각 부여한다.

 

다. 종양이 대장 점막층(mucosa)의 상피세포층(epithelium)을 넘어 기저막(basement membrane)을 뚫고 점막고유층(lamina propria)을 침윤하였으나, 점막하층(muscularis mucosa)까지 침윤하지 않고 여전히 점막층에 존재하는 경우, 국내 의학계에서는 이를 상피내 암종(intraepithelial carcinoma)과 구별되는 용어인 점막내 암종(intramucosal carcinoma)으로 명명하여 왔다.

그런데 미국합동암위원회(AJCC)와 국제암연맹(UICC)의 TNM 병기(病期) 분류법(이하 ‘TNM 병기 분류법’이라고 한다)은 이를 0병기(Tis)로 분류한다. TNM 병기 분류법은 위(胃) 등 다른 소화기관과 달리 대장의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Tis에 해당하는 정상 소재의 암종에 상피내 또는 점막고유층을 침범한 경우가 모두 포함된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에서 발간한 ‘세계보건기구 종양분류'라는 책자는 상피내 암종과 점막내 암종 모두 전이될 위험성이 사실상 없다는 이유로 이들을 고도 이형성증으로 분류하고 있다.

 

라. 국내에서는 1988년 대한대장항문학회와 대한외과학회가 주관하여 일본의 대장암 취급규약을 따른 ‘한국인 대장암 취급지침서’를 만들어 보급하였는데, 위 지침서에는 대장암의 병기를 종양의 장관벽 침윤도에 따라 M, SM, PM 단계는 1기로, SS, S, Si 단계는 전이 여부에 따라 2기 내지 4기의 병기로 분류되어있다. 위 지침서에 따르면 대장의 상피내암은 0기암(Cis, Tis)으로, 점막내암은 1기암(M, T1a)으로 분류된다. 종래 국내 의료계에서는 위 지침서에 따라 대장의 상피내암을 0기암(Cis, Tis)으로, 점막내암을 1기암(M, T1a)으로 분류하여 왔다.

그 후 대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 산하 위장관상피성종양소위원회는 2005년과 2006년에 걸쳐 ‘대장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 표준화’ 사업을 시행하고 2006년 ‘대장암 병리보고서 기재사항 표준화’라는 논문을 발표하였다. 위 논문은 암종이 고유판을 침범하지 않는 상피내 암종과 고유판을 침윤하나 점막에 국한된 점막 내 암종으로 나누고, TNM 병기 분류법에 따라 두 병변을 모두 Tis에 포함시켰다. 위 논문 발표 후 대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는 ‘2007년도 병리의사용 암등록 지침서 Ⅰ - 소화기계 암종’이란 주제로 회의를 개최하고 2008년 ‘병리의사를 위한 소화기계 암등록에 대한 제안[1]’이라는 논문에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위 논문에는 회원들 간의 회의 토론결과 대장의 상피내 암종과 점막내 암종의 용어는 계속 구분하여 사용하고, TNM 병기 분류법상 고유층 침윤이 있는 암종이라도 점막층에 국한된 경우에는 위암의 경우와는 달리 Tis로 규정하므로 이에 따라 행태코드(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에 규정된 행동양식 분류번호와 동일한 의미로 보인다) “/2”를 부여하기로 의견이 일치되었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마. 그러나 TNM 병기 분류법이 대장암에 관하여 예외적으로 정상 소재의 암종을 “상피내 또는 점막고유판의 침윤”이라고 명시하고 있는 것과 달리,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는 대장암에 관하여 상피내를 벗어나 점막고유판의 침윤이 있는 경우 이를 정상 소재의 암종, 상피내의 신생물 또는 상피내 암종으로 볼 수 있다는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대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가 발표한 위 2008년 ‘병리의사를 위한 소화기계 암등록에 대한 제안[1]’ 논문에서도 점막내 암종은 고유판에 침윤이 있기 때문에 국제질병분류 코드상 행태코드 “/3”을 부여받을 수 있음을 인정하고, TNM 병기 분류법과 달리 국내에서는 상피내 암종과 점막내 암종의 용어를 계속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대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에서 위 논문을 작성하기 위하여 대한병리학회와 대한세포병리학회의 회원 240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점막내 암종의 경우 회원 중 81.7%가 행동양식 분류번호 “/2” 부여에 동의하였으나, 16.3%는 행동양식 분류번호 “/3” 부여에 동의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위 논문 발표 후 임상의사의 진단 실무상 대장의 경우 점막고유판을 침범한 종양에 대하여 행동양식 분류번호 “/2” 부여하는 것이 다수를 이루게 되었으나, 행동양식 분류번호 “/3”을 부여하는 경우가 여전히 상당수 존재하여 그 기준이 통일되지 아니한 상태이다.

 

바. 원고는 2008. 9. 4. 한림대학교 성심병원에서 대장내시경 검사결과 다수의 용종이 발견되어 용종절제술을 받았는데, 위 수술 후 조직검사 결과 병리과 전문의인 소외 1은 2008. 9. 8. 조직검사에 대한 현미경 소견에 기초하여 ‘원고의 병변은 선종성 폴립에서부터 이형성증이 진행하여 암성 변화가 발생한 경우입니다, 현재 관찰되는 암성 변화를 보이는 병변은 점막 내에 국한된 병변이기는 하나, 단순한 상피내 암종(intraepithelial carcinoma)이 아니고, 고유판(lamina propria)으로 침윤이 일부가 관찰됩니다. 비록 근육 점막층(점막근층, musuciaris mucosa)이나 점막하층(submucosa)에 침윤이 관찰되지는 않아 점막내 암종(intramucosal carcinoma)에 해당하기는 하나, 단순히 상피내에만 존재하는 암종이 아닌 고유판으로의 미세 침윤이 관찰되는 암종이므로,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합니다’라는 의견과 함께 일부 용종을 ‘점막의 고유층에 국한된 선암[Adenocarcinoma, confinement to mucosa(lamina propria)]’이라는 내용의 조직병리보고서를 작성하였고, 위 조직병리보고서를 토대로 의사 소외 2는 2008. 12. 8. 원고의 최종 병명을 ‘상세불명의 결장 악성 신생물(국제질병분류번호 : C18.9)’, 상세불명의 결장 양성 신생물(국제질병분류 : D12.6)으로 기재한 진단서(갑 2호증)를 발행하였다.

 

3. 이를 앞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본다.

가. 원고의 질병인 ‘점막의 고유층에 국한된 선암’은 TNM 병기 분류법에 의할 경우 정상 소재의 암종(Tis)으로 분류되므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또는 국제질병분류상으로도 상피내 암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견해가 대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의 2006년과 2008년의 논문 발표 이후 국내 의료계의 다수를 점유하게 되었고, 국내 의학계의 이러한 병리학적 분류체계는 국제적인 병리학의 흐름에 부합한다는 점 등에서 그 합리성을 섣불리 부정할 수 없다.

 

나. 그러나 이 사건 각 보험계약의 약관은 암과 상피내암의 분류기준으로 TNM 병기 분류법 등을 인용함이 없이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의 분류기준과 그 용어만을 인용하고 있는 점,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는 TNM 병기 분류법이 대장의 경우 예외적으로 정상 소재의 암종에 상피내 암종뿐만 아니라 점막내 암종도 포함된다고 명시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그와 같은 명시적·예외적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한 점, 오히려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명시하는 제3편 및 제4편의 악성 신생물과 상피내 신생물의 분류기준 및 그 용어에 의할 경우, 상피내에 존재하는 비침윤성, 비침범성인 신생물의 경우만이 상피내 암종에 해당하고, 암종이 상피를 넘어 기저막을 뚫고 점막고유층에 침윤한 점막내 암종의 경우에는 이미 이러한 행동양식을 갖고 있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용종 절제술을 마친다면 추후 전이 가능성이 극히 낮지만 절제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점막하층 조직과 근육층 등을 침윤하고 다른 부위로 전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악성의 행동양식을 갖고 있으므로 악성 신생물로 분류하는 것이 그 분류기준 및 용어에 충실한 해석인 점, 대한병리학회 소화기병리연구회의 논문도 같은 취지에서 점막내 암종의 경우 국제질병분류 코드상 행태코드 “/3”을 부여받을 수 있음을 인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TNM 병기 분류법과 달리 상피내 암종과 점막내 암종이라는 용어를 계속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는 점, 1988년 대한대장항문학회와 대한외과학회의 주관하에 작성된 한국인 대장암 취급지침서 역시 점막내 암종을 제1기 대장암으로 분류하여 악성 종양임을 인정하였고, 이것이 과거 오랫동안 국내 임상의사의 진단기준이 되어 왔던 점 등을 고려하면, 보험약관의 해석의 관점에서는 이 사건 각 보험계약의 약관에서 보험사고 내지 보험금 지급액의 범위를 정하는 기준으로 규정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의 분류기준과 그 용어에 충실하게 원고의 질병과 같은 점막내 암종을 상피내 신생물로 분류되는 질병인 상피내암이 아니라 악성 신생물로 분류되는 질병인 암으로 보는 해석도 충분히 가능하고 그러한 해석의 객관성과 합리성도 인정된다.

따라서 이 사건 각 보험계약의 보험사고 내지 보험금 지급액의 범위와 관련하여 이 사건 각 보험계약의 약관이 규정하는 상피내암은 객관적으로 다의적으로 해석되어 약관 조항의 뜻이 명백하지 아니한 경우에 해당하므로,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제5조 제2항이 규정하는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을 적용하여 여기에는 점막내 암종을 제외한 상피내 암종(intraepithelial carcinoma)만이 해당한다고 제한 해석함이 상당하다.

 

다. 원심은 이와 달리 대장 내의 종양이 상피세포층을 넘어 점막고유층까지 침범하였으나 점막하층을 침윤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전이될 위험성이 거의 없어 대장암, 즉 상세불명의 결장 악성 신생물에 포함되지 아니한다는 이유로, 원고의 질병은 이 사건 각 보험계약의 약관이 규정하는 암이 아니라 상피내암에 해당한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제5조 제2항이 규정하는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보험약관의 해석을 그르친 위법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4.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박시환(주심) 안대희 신영철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 자유로운 의사결정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사망의 결과를 발생케 한 경우, 자살에 해당하는지 여부 사고후닷컴 2022.09.19 74
» 암보험계약 약관 해석에서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 사고후닷컴 2022.09.19 80
64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중요한 사실을 고지하지 아니한 것으로 단정하기 어렵다고 본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19 83
63 약관 조항의 뜻이 명백하지 아니하므로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을 적용하여 상피내암에는 점막내 암종을 제외한 상피내 암종만이 해당한다고 제한 해석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19 63
62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을 적용하여 상피내암에는 점막내 암종을 제외한 상피내 암종만이 해당한다고 해석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15 75
61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을 적용하여 점막내 암종을 제외한 상피내 암종만이 그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15 67
60 보험사고가 보험계약 체결 이전에 발생하지 않은 이상 보험계약이 무효라고 할 수 없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15 62
59 약관의 해석에 있어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이 적용될 여지가 없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15 56
58 수술 등으로 상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면책조항 본문이 적용되어 보험금 지급대상이 되지 아니한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15 66
57 암 수술급여금 '수술'에 폐색전술이 보험계약의 약관상 수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14 60
56 소멸시효 완성의 항변을 받아들이는 것은 신의성실의 원칙에 반하여 허용되지 아니한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14 65
55 술에 취해 건물 밖으로 추락하여 상해를 입은 경우 고의로 자신을 해진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14 59
54 이륜자동차를 사용하게 된 경우에 약관조항에 대한 보험자의 명시·설명의무가 면제된다고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14 76
53 피보험자에게 사망에 대한 고의가 없었던 경우에 관한 한 면책약관은 무효라고 보아야 한다 사고후닷컴 2022.09.06 99
52 살해 사건 수사종결시까지 보험금의 청구 및 지급을 유예하기로 한 합의가 있었던 것으로 보는 것이 상당하다고 본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06 59
51 ‘사고일 이후부터’ 보험만기일까지 매년 사고해당일에 보험금을 지급한다는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고 본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06 83
50 ‘보험계약자나 피보험자의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인한 손해’에 해당하는 사실에 관한 증명책임자 사고후닷컴 2022.09.06 70
49 '재해 및 장해의 보험기간 중 발생’이 보험금 지급사유라고 해석할 수 없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06 78
48 심신을 상실한 상태에서 충동적으로 베란다에서 뛰어내려 사망한 경우 재해에 해당하여 보험금 지급대상이 된다 사고후닷컴 2022.09.05 67
47 단체보험 보험수익자를 유족에게 지급하기로 하는 의미로 동의한 보험 계약이라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2.09.05 7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CLOSE
카카오톡상담